JKSPE
[ REGULA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Vol. 34, No. 12, pp.889-895
ISSN: 1225-9071 (Print) 2287-87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01 Dec 2017
Received 30 Dec 2016 Revised 12 Jun 2017 Accepted 02 Aug 2017
DOI: https://doi.org/10.7736/KSPE.2017.34.12.889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의 개발

유은주1 ; 박영우2, # ; 노명규2
1충남대학교 대학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2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Development of 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Eun-Ju Yoo1 ; Young-Woo Park2, # ; Myounggyu Noh2
1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Mechatronics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E-mail: ywpark@cnu.ac.kr, TEL: +82-42-821-687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Mag-CRPI) for improving safety of nuclear power generation. Mag-CRPI principle is based on two magnetostrictive effects: The Wiedemann effect and the Villari effect. The position may be estimated by multiplying time-of-flight (TOF) of the elastic wave from the cursor magnet to the sensing coil, and a sound speed of the magnetostrictive wire. A Mag-CRPI prototype has been designed and built.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Mag-CRPI. Change of the TOF is obtained with cursor magnet movement interval of 100 mm. Averaged position error is estimated to be 0.002m over the entire measuring length.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he performance of Mag-CRPI is validated, thereby confirming feasibility of a nuclear reactor-internal control rod.

Keywords:

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Wiedemann effect, Torsional wave

키워드: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 위드만 효과, 비틀림 파

1. 서론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처럼 분자량이 큰 방사능 물질과 중성자를 충돌시켜 발생되는 질량 결손에 의한 열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즉,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생산량의 증감 또는 유지는 물론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핵분열량을 조절해 주어야만 한다. 이를 위한 장치로 실제 원자로 내부에는 핵연료 주변의 중성자를 흡수하는 제어봉(Control Rod)이 위치해 있다.

현재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는 대부분 가압경수로형으로 원자로 상부 커버에 제어봉의 삽입 및 인출을 담당하는 제어봉 구동장치(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및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봉 위치지시기(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CRPI)가 구성되어 있다.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발전의 경우, 대체적으로 원자로와 격납 건물이 크고 원자로 상부에 관통하는 부분이 많아 제어봉 이탈 사고나 냉각재 상실 사고의 우려가 크다.

이에 최근에는 일본을 비롯하여 독일, 아르헨티나, 중국, 프랑스 등 다국적 컨소시엄 형태의 아이리스(IRIS) 등에서 대형 선박 같은 곳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 차세대형 소형원자로를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차세대형 소형원자로는 제어봉 구동장치를 포함한 주요 장치들이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일종의 일체형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원자력 발전소에 비해 원자로 상부의 관통 부분이 적어 제어봉 이탈이나 냉각재 상실 사고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설치에 요구되는 부지가 작아 건설 장소 선택에도 제약을 덜 받게 된다. 이러한 차세대형 소형원자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자로 외부에 설치되어 있던 위치지시기 역시 원자로 압력 용기 내부에 위치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기존에는 고려하지 않았던 고온·고압 환경을 가장 기본으로 고려하여 가학 조건에서의 제어봉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지시기의 연구가 필수적이다.1-3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제어봉 위치지시기술에 대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보다 위치 검출 정확도가 향상된 개념의 제어봉 위치지시기를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위치지시기가 원자로 내부에 위치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학조건 중 하나인 고온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2. 제어봉 위치지시기

제어봉 위치지시기는 구현 방식에 따라 리드 스위치(Reed Switch)방식과 검출 코일(Detection Coil)방식, 비틀림 파(Torsional Wave, T-Wave)방식으로 크게 세 가지 형태의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리드 스위치 방식의 경우, 현재 국내에 가동 중인 대부분의 가압경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 중인 형태로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제어봉 구동장치의 압력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리드 스위치는 노심으로부터의 제어봉 이송범위만큼 20 mm에서 40 mm의 일정한 간격으로 동심원상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내부의 두 리드가 서로 떨어져 있다가 제어봉 위에 결합된 구동축의 선단에 부착된 영구자석이 근접해지면 두 리드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 되면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인력으로 접점이 닫혀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원리로 구현된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가 배열된 간격에 의해 위치지시기의 정밀도가 결정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구간별 위치 검출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리드 스위치 사이 간격 내에서는 감지를 할 수 없어 일정 구간 내에 존재하는 정도의 위치만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봉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는 없다.2

리드 스위치를 코일로 교체한 형태인 검출 코일 방식의 위치지시기는 구동축 선단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코일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제어봉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방식 역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코일로 인해 제어봉의 절대적인 위치가 아닌 상대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앞선 두 방식 모두 영구자석 이동에 따른 리드 스위치와 검출 코일의 변화를 측정하기 때문에 각 개별 부품에 미치는 영구자석의 세기에 영향을 받는다. 즉, 장시간 사용 또는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한 영구자석의 성능 변화에 민감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드 스위치 또는 검출 코일 변화가 적정 선에 못 미치거나 지나치게 과도 응답하여 제어봉의 위치 검출 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된 방식이 나선형 자기장을 이용하는 비틀림 파 방식으로 영구자석의 위치에서 발생된 비틀림 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측정 대상이 부착된 영구자석의 절대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대한 상세 설명은 3절에 나타나 있다.


3.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

3.1 자기변형현상

자기변형현상이란 자기장 속에서 재료 내부의 자구(Magnetic Domain)가 자기장의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을 뜻하고 이를 자기변형효과(Magnetostrictive Effect) 또는 줄효과(Joule Effect)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재료에 외력을 가하여 외형을 변화시키면 재료 자체의 투자율이 바뀌면서 주변 자기장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역자기변형효과(Inverse Magnetostrictive Effect) 또는 빌라리 효과(Villari Effect)라고 한다. 앞선 두 효과 모두 한 방향의 자기장에 대한 효과이다.

줄 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위드만 효과(Wiedemann Effect)는 두 방향의 자기장인 길이 또는 축 방향의 자기장(Axial Magnetic Field, HAxial)과 원주 방향의 자기장(Circumferential Magnetic Field, HCircumferential)을 동시에 가해 형성되는 나선형 자기장(Torsional Magnetic Field, HTorsional)으로 재료가 비틀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그림은 Fig. 1에 나타나 있다.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의 자기장은 솔레노이드 형태의 코일에 전류(ICoil)를 인가 또는 영구자석을 이용하고, 원주 방향의 자기장은 재료에 직접 전류(IMM)를 인가해줌으로써 형성해 준다.

Fig. 1

Principle of wiedemann effect

3.2 자기변형을 이용한 위치 측정 원리

나선형 자기장 방식의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Mag-CRPI)는 앞선 3.1절에서 언급한 빌라리 효과와 위드만 효과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며, 신호를 보내는 발신부(Emitter)와 되돌아오는 비틀림 파를 유도 전압 신호 형태로 받는 수신부(Receiver)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트랜스듀서(Transducer)라고도 할 수 있다.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에 대한 기본 원리는 Fig. 2에 나타나 있다. 먼저 와이어 형태의 자기변형재료(Magnetostrictive Wire)가 중앙에 있고 재료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이 위치하여 자기변형재료에 일정한 크기의 축 방향 자기장을 지속적으로 가해주게 된다. 이 때, 영구자석은 자기변형 와이어의 축 방향으로만 이동 할 수 있게 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체인 제어봉 구동축 선단에 부착되어 제어봉의 위치를 계산하는 일종을 타깃이 되기 때문에 커서(Cursor)라고도 불린다.4-8

Fig. 2

Principle of MPS

자기변형 와이어의 한 쪽 끝에 펄스 형태의 전류(Excitation Pulse Current)를 인가하면 이 전류에 의한 원주 방향 자기장이 재료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이 진행되는 원주 방향 자기장은 영구자석에 의한 축 방향 자기장과 만나 나선형 자기장으로 유도되고 위드만 효과에 의해 재료는 순간적으로 비틀어지게 된다.

이때, 원주 방향 자기장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재료를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두 자기장이 만나는 순간 재료가 비틀어지고, 원주 방향 자기장이 영구자석이 있는 지점을 벗어나면 재료는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 시점, 즉 재료가 비틀어 졌다가 원상태로 돌아오는 순간에 초음파 중 하나인 비틀림 파가 발생되는 것이다.

비틀림 파는 자기변형 와이어를 매질로 하여 초기 발생 지점인 영구자석을 기준으로 Fig. 2와 같이 양 방향 전파를 하게 된다. 이 때, 한 비틀림 파는 댐퍼(Damper)를 통해 흡수되어 추가적인 반사에 의한 신호 중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다른 한 비틀림 파는 자기변형 와이어 한 쪽 끝에 위치한 센싱 코일(Sensing Coil) 내부를 통과하여 지나가게 된다. 비틀림 파가 센싱 코일 내부를 통과할 때, 비틀림 파는 자기변형 와이어에 일종의 외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빌라리 효과에 의해 재료 자체의 투자율이 변화하게 되고 이 변화를 페러데이의 유도 전압 법칙(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에 의해 센싱 코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9,10

실제 자기변형 와이어에 보내주는 인가 펄스 전류와 센싱 코일에서 나오는 유도 전압 검출 펄스(Detection Pulse Voltage) 형태는 Fig. 3과 같다. 유도 전압 검출 펄스에서 첫 번째 신호 검출 지점(T0)은 자기변형 와이어에 인가한 펄스 전류가 센싱 코일 내부를 통과하면서, 두 번째 신호 검출 지점(T1)은 영구자석의 위치에서 발생된 비틀림 파가 되돌아 오면서 감지된다.3-7

Fig. 3

Excitation and detection signals of Mag-CRPI

이 두 신호의 검출 시간 차이에 비틀림 파의 전파 속도(v)를 곱하면 센싱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의 거리(ΔL)를 구할 수 있으며 이는 식(1)에 나타나 있다. 즉, 센싱 코일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일정한 주기를 갖는 펄스 전류를 자기변형 와이어의 한 쪽 끝에서 인가해 주기 때문에 첫 번째 신호가 검출 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볼 수 있다. 영구자석은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이 위치에 따라 비틀림 파가 발생하는 지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센싱 코일로 돌아오는 시간이 달라지게 되어 두 신호의 검출 시간 차이(ΔT)가 생기게 된다.

ΔL=v×T1-T0=v×ΔT(1) 

식(1)을 통해 얻어진 값은 실제 대상의 위치가 아니라 센싱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의 거리이므로 이 값을 보정해 주어야 한다. 보정 방법은 영구자석이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과 기계적으로 떨어져있는 거리(L0)를 더해주는 것으로 이는 식(2)에 나타나 있다. 이 식(2)를 통해 얻어진 값(L)은 센싱 코일을 기준점으로 하여 대상의 절대 위치를 나타낸다. 만약 기준점이 센싱 코일이 아니라면 기준점과 센싱 코일 사이의 기계적인 거리를 추가적으로 더해주면 된다. 이 때, 기준점과 센싱 코일, 영구자석 및 대상은 모두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어 있어야만 한다.

L=L0+L(2) 

4.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의 검증

4.1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

3절에 설명된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설계된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의 구성도는 Fig. 4(a)와 같다. 중앙의 가이드 튜브(Guide Tube)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 형태의 자기변형재료는 와이어 고정장치(Wire Fixture)에 의해 한쪽 끝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 끝은 장력조절장치(Tension Tuning Key)에 연결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와이어 인가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어봉 상단에 부착하여 제어봉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구자석인 커서(Cursor Unit)는 가이드 튜브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우측에 있는 눈금자(Ruler)를 통해 실제 커서의 위치를 계산된 위치의 값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자기변형 와이어는 헤드 상단의 피드스루(Feedthrough)를 통해 빠져 나와 펄스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고, 센싱 코일의 출력 선은 피드스루를 통해 신호 박스(Signal Box, Signal AMP & Connector)의 입력단에 연결해 줌으로써 유도 전압 검출 펄스를 증폭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Fig. 4

Experimental setup of the Mag-CRPI

Fig. 4(a)에 나타난 구조를 통해 제작된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와 기능 검증을 위한 장비까지 함께 배치된 모습은 Fig. 4(b)와 같다. 피드스루를 통해 나온 자기변형 와이어는 전류 앰프의 출력단과 연결하여 일정한 주기의 펄스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하였고, 신호부 박스를 거친 센싱 코일 출력단은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에 연결해 줌으로써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유도 전압 검출 펄스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였다.

4.2 검증 실험 조건 및 방법

검증 실험을 위한 세부 조건은 Table 1과 같다. 성능 검증을 위한 실험은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먼저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로 타깃의 절대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과 위치지시기 자체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영구자석을 100 mm 간격으로 이동시켜가며 이 때의 검출 시간 차이를 통해 영구자석의 위치를 계산하고, 실제 위치와 비교한다. 또 다른 검증 실험은 고온환경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기 위해 상온에서부터 최대 500°C까지 온도 변화가 가능한 오븐 내에 자기변형 와이어를 두고 변화를 확인하였다.

Experimental setup conditions

커서인 영구자석을 100 mm 간격으로 이동시켜가며 그 때 나오는 센싱 코일의 검출 신호를 오실로스코프로 받아 나열한 실험 결과는 Fig. 5에 나타나 있다. 이 때, 센싱 코일의 검출 신호 앞부분은 펄스 전류를 검출한 것이고, 뒷부분은 비틀림 파를 검출한 것이다. 따라서 펄스 전류에 의한 검출 신호는 영구자석의 위치 변화에도 동일하게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를 위치 검출 기준인 T0 지점으로 한다. 비틀림 파는 영구자석이 위치한 곳에서 발생되어 자기변형 와이어를 따라 전파되기 때문에 영구자석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전파 거리가 달라지므로 이를 위치 검출에 사용 되는 T1지점으로 한다. 따라서 T1 은 펄스 전류를 검출한 신호 이후의 첫 번째 펄스로 영구자석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특징을 가진다. Fig. 5의 실험 결과를 보면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영구자석이 100 mm씩 이동할 때마다 비틀림 파에 의한 검출 신호는 약 36 μs씩 늘어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영구자석의 위치가 0 mm인 지점에서의 시간 0 μs와 900 mm인 지점에서의 시간 322 μs를 이용하여 본 실험 조건상에서의 비틀림 파 전파 속도를 구할 수 있으며 이는 약 2,795 m/s이다. 이를 영구자석의 각 지점에서 나온 ΔT와 곱해주면 해당 지점에서의 영구자석에 대한 절대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다. 각 위치에서의 수치적인 결과는 Table 2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Fig. 5

Experimental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for various cursor positions

마지막으로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의 고온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기변형 와이어 재질에 따른 고온에서의 저항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장력 조절 장치를 이용한 자기변형 와이어의 인가 장력 측정 실험과 열팽창 계수를 이용하여 고온에 적용하였을 때의 열팽창에 대한 보상 방법을 수립하였다.

고온에서의 저항 측정 실험 결과는 Fig. 6에 나타나있다. 실험에 사용된 자기변형 와이어는 주로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에 적용되는 재질인 Ni-Span-C와 Ni50Fe50으로 1 m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였다. 온도는 2시간 동안 상온 25°C부터 500°C까지 증가하고, 500°C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Fig. 6(a)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값으로 Ni-Span-C는 25°C에서 5.10 Ω, 500°C에서 5.74 Ω으로 0.64 Ω이 증가하였고, Ni50Fe50은 0.45 Ω에서 1.00 Ω으로 0.55 Ω 증가하였다.

Fig. 6

Experimental results of magnetostrictive wires

Fig. 6(b)는 온도 변화 실험을 진행하는 시간(온도 상승 2시간, 온도 유지 1시간) 동안에 변화 하는 저항 값을 나타낸다. 특히 마지막 구간인 500°C에서의 온도 유지 시, 저항 변화는 Ni-Span-C가 0.000103 Ω, Ni50Fe50이 0.000034 Ω으로 그 폭이 매우 미미하여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변형 와이어 자체가 가진 퀴리 온도(Curie Temperature)는 각각 190°C와 530°C이므로 Ni-Span-C는 기존 위치지시기가 설치된 원자로 상부에만 적용 가능하지만 Ni50Fe50의 경우, 원자로 내부의 고온 환경에도 강건하기 때문에 일체형 원전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Ni-Span-C는 고온 적용이 불가능 한 것으로 판단되어 제외하고, Ni50Fe50은 열팽창 계수를 통해 고온에서의 보상 장력을 계산하였다. Ni50Fe50의 열팽창 계수는 9.9로 450°C이 후에 대한 계수는 알려진바 없다. 따라서 기존에 명시된 값을 가지고 아래의 식(3)에 대입한 결과 단위 미터 당 약 4.7 mm 팽창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 Δl은 단위 미터 당 팽창 길이, Δt는 상온에서부터의 온도 변화량, α는 열팽창 계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온에서와 동일한 인가 장력을 500°C의 고온 상태에서도 구현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장력 조절 장치의 키를 약 3회전 시켜 열팽창에 의한 자기변형 와이어의 팽창 길이를 보상해준다.

Δl=Δt+α(3) 

5. 결론

본 논문에서는 자기변형현상을 이용하여 제어봉의 절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를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 제어봉 위치지시기들이 타깃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하여 현재의 제어봉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제어봉 구동축 선단에 부착된 영구자석을 그대로 이용하고, 리드 스위치나 검출 코일 쪽 부분을 와이어 형태의 자기변형재료로 변경한 구조이기 때문에 일정 간격마다 별도의 용접이나 납땜 및 전기적 결선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른 정확도 검증 실험을 통해서 타깃의 절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고온에서의 저항 측정과 열팽창 보상을 통해 가학 조건 중 하나인 고온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까지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검증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변형 제어봉 위치지시기의 세부 구성품에 대한 조건 실험을 수행하고, 고온 환경에서의 다양한 자기변형재료 및 영구자석 재질에 따른 특성 시험과 현재 고려하지 않은 고압 환경에서의 검출 신호 변화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면 소형원자로와 같은 일체형 원전에 적용 가능한 제어봉 위치지시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충남대학교 2015년 자체연구(CNU학술연구지원사업)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됨.

REFERENCES

  • Dufek, W., Jelovich, J., and Neuner, J., “A Fault Tolerant Multiplexed Control Rod Position Detection and Indica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IEEE Transactions on Nuclear Science, Vol. 24, No. 1, pp. 687-691, 1977. [https://doi.org/10.1109/TNS.1977.4328768]
  • Ishida, T., Imayoshi, S., Yoritsune, T., Nunokawa, H., Ochiai, M.-A., et al., “Development of In-Vessel Type Control Rod Drive Mechanism for Marine Reactor,” Journal of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Vol. 38, No. 7, pp. 557-570, 2001. [https://doi.org/10.1080/18811248.2001.9715067]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Magnetostrictive Wire Control Rod Position Detection and Indica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US Patent, 6192096 B1, 2001.
  • Park, Y. W., Song, H. W., Yoo, E. J., and Kim, J. W., “Concept and Numerical Verification of 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dentification,”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utumn Conference, pp. 3672-3673, 2013.
  • Yoo, E. J., Park, Y. W., Song, H. W., Noh, M. D., and Kim, J. W., “Simulation of Magnetostrictive Position Detector for Control Rod,” Proc. of KSPE Spring Conference, pp. 924-924, 2014.
  • Yoo, E. J., Park, Y. W., Song, H. W., Noh, M. D., Lee, J. S., et al.,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Spring Conference, pp. 134-135, 2015.
  • Yoo, E. J., Park, Y. W., and Noh, M. D., “Study on Detection Signal of 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Proc. of KSPE Autumn Conference, pp. 133-133, 2015.
  • Yoo, E. J., Park, Y. W., and Noh, M. D., “Characterization of Detection Signal for Sensing Coil Type in Magnetostrictive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Proc. of KSPE Spring Conference, pp. 219-219, 2016.
  • Zhang, Y., Liu, W., Zhang, H., Yang, J., and Zhao, H., “Design and Analysis of a Differential Waveguide Structure to Improve Magnetostrictive Linear Position Sensors,” Sensors, Vol. 11, No. 5, pp. 5508-5519, 2011. [https://doi.org/10.3390/s110505508]
  • Zhang, Y., Liu, W., Yang, J., Lv, C., and Zhao, H., “Design of Compensation Coils for EMI Suppression in Magnetostrictive Linear Position Sensors,” Sensors, Vol. 12, No. 5, pp. 6395-6403, 2012. [https://doi.org/10.3390/s120506395]

Fig. 1

Fig. 1
Principle of wiedemann effect

Fig. 2

Fig. 2
Principle of MPS

Fig. 3

Fig. 3
Excitation and detection signals of Mag-CRPI

Fig. 4

Fig. 4
Experimental setup of the Mag-CRPI

Fig. 5

Fig. 5
Experimental results

Fig. 6

Fig. 6
Experimental results of magnetostrictive wires

Table 1

Experimental setup conditions

Parameter Value
Magnetostrictive wire Material Ni50Fe50
Diameter 1 mm
Cursor Permanent magnet AlNiCo5
Sensing coil Coil diameter 0.49 mm
Sensing coil length 50 mm
Number of turns 1100
Signal amplifier Gain 1000
Excitation pulse Period 4 ms
Pulse width 100 ms
Pulse current 3.0 A
Wire tension Wire tension 39.2 N

Table 2

Experimental results for various cursor positions

Real cursor position (m) Time of flight (ms) Calculated cursor position (m) Position error (m)
0 0 0.000000 0.000000
0.1 34 0.095030 -0.004970
0.2 70 0.195650 -0.004350
0.3 106 0.296270 -0.003730
0.4 144 0.402480 0.002480
0.5 180 0.503100 0.003100
0.6 212 0.592540 -0.007460
0.7 248 0.693160 -0.006840
0.8 286 0.799370 -0.000630
0.9 322 0.899990 -0.000010